ipTime NAS1, NAS2 포트 포워딩 대상정리

*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한, 포트포워딩 대상정리.
: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세팅을 잡을때 참조하기 위해 정리한 것임.
: MySQL, Apache Server 구동시 NAS에서 HDD 절전모드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필요시에만 사용하는것이 좋음.
: 21포트 UDP의 경우. ipDISK의 프로토클형식을 알수 없어서. 통신속도를 위해 오픈 했음.
: 8080포트의 경우. 스페어 포트.(임으로 설정)

TIP.
: 메인공유기의 외부접속시.공유기 자체에 DDNS 기능이 없어도. ipdisk주소를 사용하여 예시와 같은 사용도 가능하다.
 ex)  공유기의 관리모드의 포트를 먼저 설정해 준뒤. 예시와 같이 메인공유기 접속 가능함.
http://userid.ipdisk.co.kr:8080/ 



◎ 서비스별 사용 포트  
연번
서비스
포트유형
PORT
대상포트
비고
1
FTP
TCP
20~21
21
필수 
2
AFP
uPNP
548
548
선택사항 
3
iTunes(DAAP)
uPNP,BOTH
3689
3689
 
4
MYSQL
BOTH
3306
3306
선택사항 
5
Apache Server
TCP
8000
8000
 
6
WebDAV
BOTH
80
80
 추천
7
URL 서비스
TCP
80
80
 
8
ipDISK
BOTH
80
80
 
9
ipDISK
BOTH
21
21
불확실함
10
ipCloud
BOTH
873
873
 
11
Torrent Remote GUI
BOTH
9091
9091
선택사항 
12
HTTP(관리툴)
BOTH
80
80
TCP 필수 
13
HTTPS(관리툴)
BOTH
443
443
선택사항
14
-
TCP
8080
8080
-
 

◎ 포트포워딩 대상 리스트
연번
서비스포트
내부PORT
TCP
UDP
비고
1
20~21
21
X
필수 
2
21
21
-
 
3
80
80
TCP 필수 
4
443
443
선택사항
5
548
548
선택사항 
6
873
873
 
7
3306
3306
선택사항 
8
8000
8000
 
9
8080
8080
X
필요시
10
9091
9091
선택사항 



Note. 포트포워딩 및 NAS의 세팅이 완료되어도, Nas의 ipDisk 주소가 인식 안될경우.
 : LG U+ 의 기본제공된 무선공유기인 NAPD-5000 등의 특정 공유기에서는FTP 패시브포트를 지원하지 않아서(ipTimeNas 제조사인 EFM사 Q&A 참조) ipDisk의 DDNS 주소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경우에는 리얼IP가 매칭이 안되서, DMZ 설정으로도 정상작동되지 않는다. SuperDMZ로 설정해야 문제없이 인식된다.
 또한, DMZ 나 SuperDMZ 를 사용할 경우. 포트포워딩을 할 필요 없으므로. 삭제하거나 OFF 해 주는 편이 좋다.
 다른 해결법으로는 단순히 공유기 자체의 DDNS 기능이 있다면 이를 사용하면 된다. (NAT 세팅은 논외로 함.)
 단, SpuerDMZ를 설정 했을때, 다른 로컬네트워크안의 다른 PC나 기기의 특정포트에 외부에서의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포트의 선점 때문이며, 로컬망과는 무관하다. 특정 게임에서의 외부망으로 연결되는 '배틀넷서비스'에 지장이 오는 경우가 간혹 있다고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무선충전 표준과 방식의 종류

NAS의 동영상파일을 PC에서 스트리밍 재생시 WebDAV 사용